본문 바로가기
생활꿀팁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방법 쉽고 빠르게

by tinywisdom 2025. 8. 3.
반응형

 

 

모바일 신분증은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신분증 시스템으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스마트폰에 저장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025년 현재,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3월 14일부터 전국적으로 발급이 시작되었으며, 7월부터 민간 앱(카카오뱅크, 토스, 네이버 등)으로 확대되어 발급이 가능해짐에 따라 최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갑 없이 신분 확인이 가능해지는 편의성과 보안 강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는데요, 쉽고 빠르게 발급 방법 알아볼게요.

 

1. 모바일 신분증의 종류와 대상

  • 주요 종류: 모바일 주민등록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모바일 외국인등록증 등. 2025년 1월부터 모바일 외국인등록증도 발급이 시작되었습니다.
  • 발급 대상: 만 17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주민등록증 소지자) 또는 해당 신분증 소지자. 실물 신분증이 없거나 분실된 경우에는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

 

2. 발급 방법

 

모바일 신분증 발급은 정부 공식 앱 또는 민간 앱을 통해 진행되며, 두 가지 주요 방식(QR 코드 방식 또는 IC 태그 방식)이 있습니다. 발급 전에 스마트폰이 NFC 기능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아이폰은 iOS 13 이상, 안드로이드폰은 NFC 지원 모델).

(1) 정부 공식 앱을 통한 발급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

  • 앱 다운로드: Google Play 스토어 또는 App Store에서 "대한민국 모바일 신분증" 앱을 설치합니다.

모바일 신분증 앱(안드로이드) 바로가기

모바일 신분증 앱(iOS) 바로가기

 

  • 발급 단계:
    1. 앱 실행 후 본인 인증(휴대폰 인증 또는 공동인증서 사용).
    2. 신분증 종류 선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3. 발급 방식 선택:
      • IC 태그 방식: 실물 신분증을 IC 칩 내장형으로 교체 발급받아 스마트폰에 태그(NFC 인식)합니다. 주민센터에서 IC 신분증 교체 신청(수수료 약 5,000원)이 필요합니다.
      • QR 코드 방식 (대면 발급): 가까운 주민센터(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QR 코드를 스캔합니다. 본인 확인 후 앱에서 즉시 발급됩니다.
    4. PIN 번호 설정 및 발급 완료. 발급 후 앱에서 QR 코드 또는 바코드 형태로 신분증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소요 시간: 약 5~10분(주민센터 방문 시 추가 시간 소요).
  • 주의사항: 앱은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며, 분실 시 즉시 신고(콜센터 1688-0990 또는 누리집 https://www.mobileid.go.kr/)가 필요합니다.

(2) 민간 앱을 통한 발급

  • 2025년 7월 23일부터 민간 앱으로 확대되어 네이버, 카카오뱅크, 토스, KB스타뱅킹, NH올원뱅크 등 5개 앱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이는 정부 앱과 연동되며, 발급 후 해당 앱에서 신분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아이폰 사용자: 토스 또는 카카오뱅크 앱에서만 발급 가능합니다.
  • 주의사항: 민간 앱 발급 시 정부 앱의 기존 신분증이 폐기될 수 있으므로, 앱 간 호환성을 확인하세요. 일부 기기에서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신분증 발급(네이버) 바로가기

 

3. 최근 화제 이유 및 사용자 피드백

  • 화제 배경: 민간 앱 개방으로 발급 편의성이 높아지면서, X(트위터) 등 소셜 미디어에서 발급 경험 공유가 활발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뱅크나 토스 앱을 통해 간편하게 발급받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보급률이 낮다는 지적도 있으며, 실물 신분증 미소지 시 발급 어려움, 기기 호환성 문제 등이 불편으로 언급됩니다.
  • 장점: 지갑 분실 위험 감소, 온라인/오프라인 신분 확인 용이.
  • 단점: 스마트폰 분실 시 신고 필수, 일부 기기 미지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