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고비는 덴마크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개발한 GLP-1 수용체 작용제 기반 비만 치료제로, 성분명은 세마글루티드(semaglutide)입니다. 주로 주사제 형태로 사용되며, 체중 감량 효과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판매 중이며, 경쟁 약물(예: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 또는 젭바운드)과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가격 인하 동향
2025년 들어 노보 노디스크는 위고비의 가격을 여러 시장에서 인하하거나 조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복제 약물의 경쟁 증가, 수요 둔화, 그리고 정부/의회 압력(예: 미국 상원 조사)에 따른 조치로 보입니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시장:
- 2025년 3월, 노보 노디스크는 보험 미가입자(현금 지불자)를 대상으로 위고비 가격을 월 $650에서 $499로 약 23% 인하했습니다. 이는 온라인 약국 플랫폼(NovoCare Pharmacy)을 통해 제공되며, 리스트 가격($1,349) 대비 큰 할인입니다.
- 5월 말, 첫 달 한정으로 $199 특가 오퍼를 출시했습니다. 이는 6월 30일까지 적용되었으나, 지속적인 가격 압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추가로, Hims & Hers와의 협력을 통해 $549/월(6개월 한정) 가격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는 compounded 약물의 저가 경쟁에 대응한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 CFO는 2025년 후반에 미국 내 가격 침식(price erosion)이 더 발생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Bernie Sanders 상원의원은 이 인하를 "모범적인 첫걸음"으로 평가했으나, 영국($92) 대비 여전히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 한국 시장:
- 2025년 8월 초, 노보 노디스크 한국법인은 위고비의 도매 공급가를 용량별로 10~42% 인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기존 단일 가격(37만 2,000원)에서 차등 적용되며, 특히 시작 용량(0.25mg)은 40% 이상 인하되어 22만 원대로 낮아집니다.
- 이는 일라이 릴리의 마운자로(Mounjaro) 국내 출시에 대응한 조치로, 마운자로의 2.5mg(4주분) 출고가가 28만 원으로 위고비보다 25% 저렴한 점을 의식한 것입니다.
- 고용량(2.4mg)은 인하 폭이 작지만, 전체적으로 환자 부담이 줄어들어 월 20~30만 원대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업계에서는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10~20% 추가 하락할 수 있다고 봅니다.
미래 전망
위고비의 전망은 긍정적이지만, 경쟁 심화와 수요 둔화로 인해 도전적입니다. 노보 노디스크는 2025년 판매 성장률을 초기 13~21%에서 8~14%로 하향 조정했으며, 영업이익 전망도 10~16%로 낮췄습니다. 주요 이유와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 판매 및 시장 점유율:
- 미국에서 컴파운드 약물(예: Hims의 저가 버전)과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 경쟁으로 시장 점유율이 하락 중입니다. 2025년 하반기 판매가 150억 덴마크 크로네(약 23억 달러)로 예상되나, 이전 전망(157억)보다 낮습니다.
- 글로벌 확장: 35개국 이상에서 판매 중이며, 국제 시장 판매가 전년 대비 335% 증가했습니다. 한국 시장은 20조 원 규모로 성장 중이나, 마운자로 출시로 "혈투"가 예상됩니다.
- 가격 압력 및 비용 관리:
- 미국 대통령(Trump)의 약가 인하 압력으로 추가 가격 하락 가능성이 큽니다. 연구에 따르면, 세마글루타이드 가격이 80% 인하되어야 비용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노보 노디스크는 비용 절감을 위해 구조조정을 경고했으며, 2025년 하반기 성장 둔화를 예상합니다.
- 긍정적 요인:
- CVS와 같은 보험사에서 위고비를 주요 GLP-1 약물로 지정해 처방 증가가 예상됩니다.
- 한국에서 가격 인하로 환자 접근성이 높아져 시장 확대 가능. 전체 비만 치료제 시장은 지속 성장할 전망으로, 노보 노디스크는 환자 치료 지속성을 강조하며 대응 중입니다.
전반적으로, 가격 인하는 단기적으로 수요를 자극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쟁과 규제 압력으로 인해 이익률이 압박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한미 관세협상 타결 관련주 분석 및 투자 전망(호재와 악재) (0) | 2025.07.31 |
---|---|
이재명 정부 국민성장펀드: 정책, 논란, 미래 전망 정리 (0) | 2025.07.31 |
한미 관세 협상 타결 내용 총정리 (0) | 2025.07.31 |
노란봉투법 주한유럽상의(주한유럽상공회의소, ECCK) 철수 논란 분석 (0) | 2025.07.30 |
노란봉투법이란? 2025년 최신 입법 과정과 찬반 논란 총정리 (0)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