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 국내 상장 S&P500 ETF 비교: 실질 총 비용 중심 분석
미국 S&P500 지수는 글로벌 주식 시장의 벤치마크로, 장기 투자자들에게 필수 아이템입니다. 국내 상장 ETF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단순 총보수만 보는 건 실수! 실질 총 비용(총보수 + 기타비용 + 매매중개수수료)을 비교해야 실제 수익률 차이를 알 수 있어요. 본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주요 국내상장 S&P500 ETF를 조사해 보았습니다.
왜 실질 총 비용이 중요한가?
총보수는 공시된 기본 수수료지만, 실질 비용은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숨은 비용(예: 선물 롤오버, 환헤지 비용, 거래 수수료)을 포함합니다. 장기 투자 시 0.1% 차이도 복리 효과로 수백만 원 차이가 날 수 있어요. 2025년 들어 보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일부 ETF가 0.01%대 실질 비용을 자랑하지만, 추적 오차나 유동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주요 국내 상장 S&P500 추종 ETF 목록 및 비교
2025년 8월 기준, 국내 상장된 주요 S&P500 ETF는 8종 정도입니다. 순자산(AUM), 총보수, 실질 총 비용, 1년 수익률(추정)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데이터 출처: ETF 체크, 각 운용사 연차보고서(2025.7 업데이트)
ETF | 운용사 | AUM(조 원) | 총 보수(%) | 실질 총 비용(%) | 1년 수익률(%) | 특징 |
TIGER 미국S&P5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12.5 | 0.070 | 0.185 | 22.5 | 안정적 추적, 높은 유동성. 실질 비용 낮아 장기 추천. |
KODEX S&P500(TR) | 삼성자산운용 | 10.8 | 0.150 | 0.229 | 21.8 | TR 방식으로 배당 재투자. 실질 비용 높지만 안정성 좋음. |
RISE 미국S&P500 | KB자산운용 | 9.2 | 0.004 | 0.163 | 22.1 | 보수 인하로 실질 비용 최저 수준. 2025 신흥 강자. |
ACE 미국S&P500 | 한국투자신탁운용 | 7.6 | 0.090 | 0.198 | 22.0 | 균형형, 실질 비용 중간. 초보자 적합. |
SOL 미국S&P500 | 신한자산운용 | 6.4 | 0.100 | 0.210 | 21.9 | 환헤지 옵션 있음. 실질 비용 약간 높음. |
KOSEF 미국S&P500 | 키움투자자산운용 | 5.1 | 0.120 | 0.225 | 21.7 | 저비용 추구, 하지만 실질 비용 상승 추세. |
1Q 미국S&P500 | 하나자산운용 | 4.3 (신규) | 0.010 | 0.010 | 22.3 | 2025 상장 신제품. 실질 비용 초저가로 주목. |
ARIRANG S&P500 | 한화자산운용 | 3.8 | 0.130 | 0.240 | 21.5 | 보수 경쟁력 약함. 실질 비용 최고 수준. |
- 실질 총 비용 비교 포인트: RISE(0.163%)와 1Q(0.010%)가 가장 저렴합니다. 1Q는 신규 상장으로 기타 비용 최소화, RISE는 보수 인하 이벤트 덕분. 반면 KODEX와 ARIRANG은 0.2%대 후반으로, 연 1억 투자 시 20만 원 이상 추가 비용 발생. TIGER와 ACE는 균형형으로 실질 비용 0.18~0.19%대, 안정적입니다. 비용 상승 요인: 2025 환율 변동으로 선물 거래 비용 증가(평균 0.05% 추가).
- 수익률 및 추적 오차: 모든 ETF가 S&P500 지수(연 22%대)를 잘 추종하지만, 실질 비용 낮은 RISE와 1Q가 약간 우위. 추적 오차는 TIGER(0.05%)가 가장 낮음.
- 기타 고려사항: ISA 계좌 이용 시 세제 혜택(비과세)으로 실질 비용 더 줄일 수 있음. 월배당형(예: KODEX 버퍼 ETF)은 별도지만, 순수 추종형 위주로 비교.
투자 팁: 어떤 ETF를 선택할까?
- 저비용 우선: 1Q나 RISE 추천. 장기 복리 효과 극대화.
- 유동성 중시: TIGER나 KODEX, 거래량 많아 매매 편함.
- 리스크 관리: 실질 비용 외 추적 오차 확인. 2025 시장 변동성 높아, 분산 투자 권장. 국내 ETF는 해외 직투(VOO 등, 실질 0.03%)보다 세금(15.4% vs 22%) 유리하지만, 환율 리스크 주의. 최신 데이터는 운용사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
'경제 > 주식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주식 관련 지수 분석: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코스피 (1) | 2025.08.16 |
---|---|
팔란티르의 기술적 해자: AI 시대, 왜 대체될 수 없는가? (0) | 2025.08.12 |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Palantir Technologies, PLTR) 투자 관점 심층 분석 (1) | 2025.08.12 |
정청래 관련주 - 주요 테마주와 투자 전망 (1) | 2025.08.04 |
이재명 정부 세제개편안 주요 내용 및 주식 대응 전략 (0)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