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동 훈련과 인슐린 저항성(2): 체중 감량 유무에 따른 운동의 영향

by tinywisdom 2025. 6. 4.
반응형

체중 감량 없는 운동

체중 감량 없이 운동 훈련을 하는 것은 인슐린 자극 포도당 처리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체중 감량 없는 운동도 체지방, 내장 지방 및 피하 지방 감소와 같은 체성분 변화에 영향을 미쳐 인슐린 민감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강도 높은 운동은 체중 감량 없이도 내장 지방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동으로 인한 체중 감량

운동으로 인한 체중 감량은 인슐린 민감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내장 지방 감소는 이러한 개선을 이끄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중이 약간만 감소하더라도 인슐린 저항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운동 강도와 유형의 중요성

강도 높은 운동: 강도 높은 유산소 운동은 체중 감량 유무에 관계없이 인슐린 민감성 개선에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glycogen repletion 및 내장 지방 감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인터벌 훈련: 짧은 기간의 인터벌 훈련도 인슐린 민감성을 일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빠르게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항성 훈련: 저항성 훈련만으로는 체중이나 체지방 감소에 충분한 자극을 제공하지 않으면 인슐린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산소 운동과 병행하거나 칼로리 제한과 결합될 때 유익한 효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 vs. 저항성 훈련 vs. 병행 훈련: 연구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 단독 또는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훈련을 병행하는 것이 저항성 훈련 단독보다 체중 감소 및 내장 지방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염증 표지자 감소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반응형